(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
  • association
  • newsplaza
  • dataplaza
  • discussionplaza
  • community
  • 공지사항
  • 협회소식
  • 회원소식
  • 검증관련 뉴스
  • 교육신청게시판
  • 관련 입찰정보
  • 뉴스레터

정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대규모 실증 사업 착수

연구기관-CO2 배출기업-CO2 활용기업-평가기관 참여 'CCU 메가 프로젝트'


CCU 밸류 체인 구성안

CCU 밸류 체인 구성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 기술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해 'CCU 메가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CCU 메가 프로젝트는 연구기관과 이산화탄소 발생 기업·활용기업, 평가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는 대규모 실증 사업으로, 정부는 19일 부지 선정 공고를 시작으로 본격적 지원에 나선다.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발전이나 산업공정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획해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신속한 확보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작년 12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고도화 전략'을 발표하며, CCU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전략의 하나로 추진되는 'CCU 메가 프로젝트'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 등 연구개발 주체와 이산화탄소 발생원이 존재하는 수요기업, CCU 제품 활용 기업, 감축량 평가·검증 기관 등이 모두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로, 이산화탄소 공급부터 제품 활용까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밸류체인을 구성해 CCU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나의 컨소시엄에서 연간 4천톤 규모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석유화학·철강·시멘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별 여러 컨소시엄 운영을 통해 대규모 이산화탄소 감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동안,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높은 기술적 난도와 낮은 경제성 등을 이유로 상용화까지 연계가 잘되지 않았지만,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민관 공동으로 성공사례를 창출해 CCU 기술의 민간 확산을 유도하겠다고 정부는 전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기업 등을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을 위한 시설·설비가 구축될 부지를 선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기로 하고 19일 실증 부지 선정 공고를 한다.

이어 25일께 사업설명회를 연 뒤, 약 1개월 기한으로 유치계획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이후 2단계 컨소시엄 구성을 포함한 실증계획 등 단계별 평가를 진행하며,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6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선정의 공정성·객관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를 운영하며 부지의 적합성과 실증계획의 구체성 등을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해 부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차관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수단"이라며 "유관 기업과 협력을 기반으로 CCU 메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고 국내 산업의 탄소중립 대응능력을 제고하겠다"라고 말했다.



rao@yna.co.kr  (연합뉴스, 2024. 6. 18)
조회 수 :
249
등록일 :
2024.06.20
14:36:11
엮인글 :
http://www.kovaghg.or.kr/kova/2366266/287/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kovaghg.or.kr/kova/23662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 온실가스 배출권도 주식처럼 거래한다 관리자 2024-07-11 216
» 정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대규모 실증 사업 착수 관리자 2024-06-20 249
81 TK신공항 인근 소형모듈원전 건설… "사업비 4조, 2033년 가동" 관리자 2024-06-20 253
80 EU CBAM 주요 선진국 확산 전망… “中企 탄소 배출량 저감 노력해야” 관리자 2024-06-20 251
79 태양광·풍력 설비 2030년까지 3배로… "RE100 적극 대응" 관리자 2024-06-20 256
78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의무화 초읽기… 기후 금융 투자 탄력받을 듯 관리자 2024-06-20 250
77 에너지연구원 "온실가스 이산화탄소를 항산화물질로 전환" 관리자 2024-06-03 252
76 전력망 부족에 발목 잡힌 재생에너지… 지자체서 실마리 찾는다 관리자 2024-06-03 251
75 기업 불만 제일 큰 그 규제, K-ESG 공시서 사실상 제외 관리자 2024-06-03 246
74 일본, 온실가스의 '스코프 3' 감축 요구 확대 관리자 2024-04-26 457
73 온실가스에 갇힌 지구… 지난해도 이산화탄소 증가폭 껑충 관리자 2024-04-26 294
72 원전 복원-신재생 확대에 “온실가스 배출 2년 연속 감소” 관리자 2024-04-26 310
71 "탄소중립 위한 RE100 절실"... 국내 기업들 신속하게 대응 전략 짜야 관리자 2024-04-05 413
70 [단독]거세지는 글로벌 기후규제… 환경부도 '통상전략' 짠다 관리자 2024-04-05 339
69 CBAM에 공급망 실사까지 ESG 무역장벽 확대… 수출기업 대응은 '34점' 관리자 2024-04-05 472
68 [인터뷰]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 “전기요금 현실화가 탄소중립・온실가스 감축에 가장 기본 정책” 관리자 2024-03-21 377
67 민관, 2030년까지 452조 ‘친환경’ 금융지원… “온실가스 8597만톤 감축” 관리자 2024-03-21 367
66 EU 불화온실가스(F-gas) 규제 개정안, 3월 11일부 발효 관리자 2024-03-21 407
65 [단독] “탄소배출 1t에 220만원”… 韓, 인구소멸 전에 기후위기로 몰락? 관리자 2024-03-21 391
64 한국형 탄소차액계약제 나오나… 환경부 제도 구체화 착수 관리자 2024-03-04 352
  • 우편번호 08504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동 2406-1호
    Tel. 02-2038-3666~8   Fax.02-2038-3665   Email.service@kovaghg.or.kr
  • 사업자등록번호 119-82-09499
  • 본 웹사이트는 보안이 약한 IE6.0이하버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업그레이드 해주세요.
  • 본 웹사이트에 수록된 모든 내용은 (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의 소유로 대한민국 저작권보호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 Copyright(c) KOVA All rights reserved 2012. Powerd by Design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