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
  • association
  • newsplaza
  • dataplaza
  • discussionplaza
  • community
  • 공지사항
  • 협회소식
  • 회원소식
  • 검증관련 뉴스
  • 교육신청게시판
  • 관련 입찰정보
  • 뉴스레터

[발언대]  과학적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중요한 이유

IPCC 국제 지침따라 각국 산출
한우·젖소 등 탄소 발자국 계산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 등 활용


임기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장.

임기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장.



농업 분야에 세계 최초로 탄소세를 부과하는 나라가 등장했다. 유제품과 돼지고기의 주요 수출국인 덴마크다. 덴마크 정부는 농가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1t당 300크로네(약 6만원)의 세금을 2030년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탄소세 부과로 2030년에 덴마크 배출량 감축 목표의 70%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추산했다. 덴마크와 같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농가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계산하는 방법이 마련돼야 한다. 그렇다면 과학적 근거를 갖추고 신뢰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는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온실가스 감축 연구는 크게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와 '온실가스 저감 기술'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온실가스 저감 기술은 메탄 저감 사료처럼 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추는 응용기술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는 저탄소 기술 적용 전·후의 배출량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만드는 기초 영역이다. 개발된 기술이 제대로 활용되려면 제대로 된 배출량 평가가 필요한 셈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방법으로는 산업 분야별 국가통계자료와 온실가스 배출원별 발생량을 수치화한 배출계수를 활용하는 '국가 인벤토리'와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환경 영향을 모두 반영한 '전 과정 환경영향 평가'가 있다.

국가 인벤토리의 경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제안한 국제 공통 지침으로 국가 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IPCC는 1996년과 2006년, 2019년 세 차례에 걸쳐 전 세계의 관련 연구 결과를 종합해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을 위한 IPCC 지침'을 발간했다. 한국도 이 지침에 따라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를 중심으로 2012년부터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를 산정·보고하고 있다. 이중 축산분야 배출량은 축산과학원에서 산정하고 있다.

IPCC 지침이 국제 공통 지침이긴 하지만 IPCC는 각국의 고유한 산업환경을 반영한 배출·흡수계수를 개발해 보다 정확한 배출량을 산정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축산과학원은 2018년부터 한우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를 포함해 17종의 국가 고유 계수를 개발해 국가 인벤토리 산정에 활용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33종을 개발·등록할 계획이다.

전 과정 평가는 익히 알려진 탄소 발자국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고기 1㎏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사료와 가축 사육·분뇨 처리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 축사 운영에 쓰이는 전기와 유류 등을 고려해 총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축산과학원에서는 지난해까지 서울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한우와 젖소에 대한 탄소 발자국을 계산한 바 있고, 올해는 돼지와 닭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방법은 국가 통계 산정은 물론 감축량 평가에도 필요하며 장기적인 감축 계획을 세우는 데도 필수적이다. 뛰어난 저탄소 기술을 개발해도 그 감축 효과를 정량화할 수 없으면 그 기술은 '꿰지 않은 구슬' 신세를 면하기 어렵다. 덴마크의 탄소세 부과와 같은 정책은 신뢰할 수 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기준과 근거를 바탕으로 관계자들의 협의가 이뤄져야 시행될 수 있고 또 지속될 수 있다.

어떤 일이든 기초가 중요하다. 연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도 기초 단위부터 바르게 평가해야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바른 방향으로 오래 나아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임기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장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아시아경제, 2024. 7. 24)
조회 수 :
127
등록일 :
2024.07.25
15:19:27
엮인글 :
http://www.kovaghg.or.kr/kova/2366931/a4c/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kovaghg.or.kr/kova/23669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0 정부, 내년 상반기 '지속가능항공유 혼합 의무화 로드맵' 발표 관리자 2024-12-30 18
119 CO2 1만배 온실가스 HFCs, 2035년까지 2천만톤 감축 관리자 2024-12-30 20
118 韓 대행 “기후위기, 일상 위협… 2030년까지 녹색금융 450兆 투입” 관리자 2024-12-30 22
117 턱없는 탄소배출 할당량… 배출권 사기 바쁜 지자체 관리자 2024-12-30 23
116 '스코프 3' 포함될까, 내년 상반기 '지속가능 공시' 기준 발표 관리자 2024-12-30 25
115 기후학자들 경고… "북극해 얼음 없는 날, 2027년에 올 수 있다" 관리자 2024-12-16 33
114 [인터뷰] 44조 굴리는 '큰 손' "트럼프 IRA 폐지? 말과 실행 다를 것" 관리자 2024-12-16 36
113 미국 연구소 "한국 친환경항공유 선도국가 가능성, 발빠른 공급망 구축 필요" 관리자 2024-12-16 37
112 [기고] 배출권거래제의 합리적 개선 방향 /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관리자 2024-12-16 40
111 "한국, 경쟁국보다 저탄소 전환 더뎌… 제조업 경쟁력 지킬 정책 필요" 관리자 2024-11-28 46
110 [단독] 트럼프 '親화석'에도 "각국 친환경 정책 안바뀐다" 관리자 2024-11-28 47
109 “재생E 수급 개선, 시장 참여자 간 자유로운 거래가 첫걸음” 관리자 2024-11-14 48
108 美 트럼프, 에너지 수장에 석유맨… G20 기후선언문 이행 차질 빚나 관리자 2024-11-28 50
107 환경부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 연말까지 시나리오 확정 목표" 관리자 2024-11-28 58
106 '강력한 NDC' 부담 커진 한국… "정치적 결단을" 관리자 2024-11-28 59
105 "기후변화 대응 안 하면… 한국 성장률, 2100년까지 연 0.3%p↓" 관리자 2024-11-14 60
104 '미 대선 탓'할 틈 없는 기후위기 대응 관리자 2024-11-14 67
103 COP29, 첫날 UN 주도 탄소배출권 거래 규정에 합의 관리자 2024-11-14 67
102 '기후 이민자' 증가세... "대도시 인구 과밀도 높아질 듯" 관리자 2024-10-14 69
101 "기후기금 2030년까지 2배 확대… 기업의 저탄소 전환 촉진" 관리자 2024-10-14 70
  • 우편번호 08504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동 2406-1호
    Tel. 02-2038-3666~8   Fax.02-2038-3665   Email.service@kovaghg.or.kr
  • 사업자등록번호 119-82-09499
  • 본 웹사이트는 보안이 약한 IE6.0이하버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업그레이드 해주세요.
  • 본 웹사이트에 수록된 모든 내용은 (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의 소유로 대한민국 저작권보호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 Copyright(c) KOVA All rights reserved 2012. Powerd by Design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