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열중 일곱명이 기후변화를 가장 중요한 환경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등 중앙부처의 환경보전 노력에 대해서는 조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한국환경연구원(KEI)이 발표한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8.2%가 기후변화를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꼽았다. 이는 지난 3년 전인 2021년(39.8%)에 비해 30%P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불안감(75.7%), 미안함(66.3%), 분노감(64.8%) 등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했다. 반면 기후변화에 무관심하다는 응답은 30.2%에 그쳤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으나 정부의 노력에 대한 부정 평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응답자의 48.9%가 환경보전의 책임 주체로 ‘중앙정부’를 지목했다.
‘중앙정부’의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2021년 35.5%로 최저치를 기록한 후 3년 연속 증가해 2024년 51.2%로 과반을 넘어섰다. 중앙부처의 환경보호 주관 부처는 환경부라는 점에서 환경부 의 정책과 소통 실종에 대한 아쉬움이 이어진다.
KEI 관계자는 “환경문제 해결에 대해 정부 책임을 높게 인식하는 만큼 다양한 정책적 고려뿐 아니라 이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불통 속 국민들의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감소하는 양상이다.
‘불편함을 감소하더라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이 58.4%, ‘생활의 편리함이 우선이다’는 응답이 20%로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하는 응답이 우세했다. 그러나 2018년 70.5%에 달했던 ‘환경친화적 행동 우선’이라는 응답이 12%P 이상 줄고 반면 ‘생활의 편리함 우선’이라는 응답은 8%P 가까이 늘어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과는 별개로 친환경 실천 의지는 낮아졌다.
친환경적 태도나 생활 습관 실천이 어려운 이유로는 ‘대중교통 이용 등 친환경적인 행동(예: 대중교통 이용)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46.0%)', ‘친환경적 행동이 나의 건강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예: 미세먼지 많은 날 걸어서 이동)(46.0%)’, ‘친환경적인 행동은 비용이 많이 든다(40.6%)’ 등이 높게 나타났다.
환경적 선택이 비환경적 대안에 비해 손실을 유발한다는 인식도 존재했다. 세대별로는 20대의 경우 ‘금전적 손실(비용이 많이 든다)’, 5060세대에서는 ‘시간적 손실(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응답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