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
  • association
  • newsplaza
  • dataplaza
  • discussionplaza
  • community
  • 공지사항
  • 협회소식
  • 회원소식
  • 검증관련 뉴스
  • 교육신청게시판
  • 관련 입찰정보
  • 뉴스레터

국민 68%  ‘기후변화 가장 중요 환경문제’

KEI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 발표
정부 환경보전 노력 ‘부정 평가’ 매년 증가세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KEI)



국민 열중 일곱명이 기후변화를  가장 중요한 환경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등 중앙부처의  환경보전 노력에 대해서는 조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한국환경연구원(KEI)이 발표한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8.2%가 기후변화를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꼽았다. 이는 지난 3년 전인 2021년(39.8%)에 비해 30%P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불안감(75.7%), 미안함(66.3%), 분노감(64.8%) 등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했다. 반면 기후변화에 무관심하다는 응답은 30.2%에 그쳤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으나 정부의 노력에 대한 부정 평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응답자의 48.9%가 환경보전의 책임 주체로 ‘중앙정부’를 지목했다.

‘중앙정부’의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2021년 35.5%로 최저치를 기록한 후 3년 연속 증가해 2024년 51.2%로 과반을 넘어섰다. 중앙부처의 환경보호 주관 부처는 환경부라는 점에서 환경부 의 정책과 소통 실종에 대한 아쉬움이 이어진다.

KEI 관계자는 “환경문제 해결에 대해 정부 책임을 높게 인식하는 만큼 다양한 정책적 고려뿐 아니라 이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불통 속 국민들의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감소하는 양상이다.  

‘불편함을 감소하더라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이 58.4%, ‘생활의 편리함이 우선이다’는 응답이 20%로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하는 응답이 우세했다. 그러나 2018년 70.5%에 달했던 ‘환경친화적 행동 우선’이라는 응답이 12%P 이상 줄고 반면  ‘생활의 편리함 우선’이라는 응답은 8%P 가까이 늘어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 인식과는 별개로 친환경 실천 의지는 낮아졌다.

친환경적 태도나 생활 습관 실천이 어려운 이유로는 ‘대중교통 이용 등 친환경적인 행동(예: 대중교통 이용)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46.0%)', ‘친환경적 행동이 나의 건강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예: 미세먼지 많은 날 걸어서 이동)(46.0%)’, ‘친환경적인 행동은 비용이 많이 든다(40.6%)’ 등이 높게 나타났다.

환경적 선택이 비환경적 대안에 비해 손실을 유발한다는 인식도 존재했다. 세대별로는 20대의 경우 ‘금전적 손실(비용이 많이 든다)’, 5060세대에서는 ‘시간적 손실(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응답이 가장 높았다.




곽진성 기자 pen@viva100.com (브릿지경제, 2025. 4. 10)
조회 수 :
13
등록일 :
2025.04.30
14:11:03
엮인글 :
http://www.kovaghg.or.kr/kova/2371512/24b/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kovaghg.or.kr/kova/23715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日, 2030년 말레이 앞바다에 CO2 포집·저장… 올 여름 각서 체결" 관리자 2025-04-30 16
142 “트럼프와 반대로 간다”… 중국, 탄소중립 정책 강화 관리자 2025-04-30 19
» 국민 68% ‘기후변화 가장 중요 환경문제’ 관리자 2025-04-30 13
140 EU, 2040 기후 목표 수정 가능성 시사… 국내 산업계에 미칠 영향은 관리자 2025-04-10 97
139 “영남지역 산불로 온실가스 366만t 배출” 관리자 2025-04-10 80
138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공기 중 직접 포집 신기술 나왔다 관리자 2025-04-10 73
137 “탄소중립 글로벌 리더십, 미국 대신 중국이 가져갈 것” /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 기후물리연구단장 관리자 2025-04-10 82
136 美·EU 그린정책 엇박자… 韓 "SMR·친환경 선박 집중해야" 관리자 2025-03-27 107
135 산불 피해 10년 전보다 7.3배 증가… 온실가스 더 배출돼 기후 악순환 관리자 2025-03-27 150
134 파리협약 '1.5도 마지노선' 깨졌다... 작년 지구 온도 1.55도 올라 관리자 2025-03-27 114
133 [기고] 2050 탄소중립: 탄녹위 2기의 도전과 과제 / 한화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 관리자 2025-03-27 97
132 "36개 기업이 전 세계 온실가스 절반 배출" 관리자 2025-03-12 117
131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 "글로벌한 환경 문제 해결하면서 국익도 수호할 것" 관리자 2025-03-12 187
130 김완섭 환경장관, 다자외교 통해 기후환경 국제협력 강화 관리자 2025-03-12 103
129 9월까지 미뤄진 2035년 탄소감축목표… '속도·목표' 모두 험로 관리자 2025-03-12 94
128 “美 파리기후협정 탈퇴에도 韓 에너지전환 충실 이행 국익에 부합” 관리자 2025-02-24 145
127 '이산화탄소저장활용법' 본격 시행… "포집된 CO2, 해저에 저장" 관리자 2025-02-24 131
126 '후진' 안 되는 온실가스, 2035년 감축 목표 논의 시작 [NDC 가는길①] 관리자 2025-02-24 172
125 은행·보험사·기금도 탄소배출권 시장 참여 가능해져 관리자 2025-02-24 97
124 [단독] 탄소배출권 가격 오르나… 국민연금, 시장 참여 검토 관리자 2025-02-24 146
  • 우편번호 08504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동 2406-1호
    Tel. 02-2038-3666~8   Fax.02-2038-3665   Email.service@kovaghg.or.kr
  • 사업자등록번호 119-82-09499
  • 본 웹사이트는 보안이 약한 IE6.0이하버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업그레이드 해주세요.
  • 본 웹사이트에 수록된 모든 내용은 (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의 소유로 대한민국 저작권보호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 Copyright(c) KOVA All rights reserved 2012. Powerd by Design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