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은 2030년부터 말레이시아 앞바다에 이산화탄소(CO2)를 포집·저장(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하는 사업을 시작한다고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자국 화력발전소 등에서 배출된 CO2를 액체로 전환해 전용선으로 말레이시아 앞바다로 운반한 후 묻는 사업을 2030년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각서를 올해 여름까지 말레이시아와 체결할 방침이다.
국제 조약에 따라 CO2의 국외 수송은 양국 간 협의가 필요하다. 일본으로선 처음으로 해외로 CO2를 보내는 사례가 된다.
일본의 미쓰이(三井)물산, 간사이(關西)전력 등이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나스와 해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앞바다에는 대규모의 가스전이 여러 곳 존재한다. 천연가스 고갈 후 남게 된 텅 빈 공간에 일본이 CO2를 주입할 계획이다. 연간 최대 1000만t의 CO2가 매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실질 배출 제로(0)'를 목표로 내걸고 있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발전, 전기자동차 도입 등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2050년 연 1.2~2.4억t CO2를 지하에 매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3년 총 CO2 배출량의 10~20%에 해당한다.
일본 내 지하 매장 후보지는 현재 11곳이다. 총 매장 규모는 160억t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의 매장도 불가피하다고 보고 국제 협력을 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외에도 호주 등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